공부하면서 자료를 정리하려고 블로깅 하는것이고
모든 출처는 NAVER CLOUD PLATFORM에 있습니다.
https://www.edwith.org/associate-vpc/
Associate Course(VPC Platform) 강좌소개 : edwith
- Naksoo Jung
www.edwith.org
NCA플랫폼의 상품군에는 4종류가 존재한다.
- 플랫폼 ,인프라, 애플리케이션,관리/보안
컴퓨터 상품군 - 2022/01월 기준
컴퓨터상품군은 입맛대로 설정해서 사용하는게 아니라 미리 템플릿을 만들어두고 이용할 수 있게
다양한 상품군을 준비해 두고 있다.
일반서버 Classic 1세대
Micro : 한국 사용자에게만 제공됨.
- Windows를 제공하지 않음.
High Memory : 주로 DB를 구성할때 많이 이용한다.
VDS : Virtual Dedicated Server의 약자로,
*Hyper visor에 vm이 하나만 올라가는 특징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소스를 혼자 사용)
- VDS는 경합이 일어나지않아 DB와 같이 안정적인 시스템을 이용할때 사용.
*경합 : 네트워크나 하드의 I/O에서 일어나는 트래픽
- 고성능 클라우드 서버를 단독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안정적으로 독차지하고 고성능으로 이용하고 싶을때 사용
CPU Intensive : 인텔의 골드타입 사용.
- CPU 파워가 좀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GPU Server :
- GPU 카드를 내장한 서버를 뜻함
- 홍콩은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에도 제공되기때문에 서버만 제공됨.
일반서버 Classic 2세대 (Gen2,VPC)
- VPC는 Gen2에서만 제공됨.
특징 : CPU와 Memory의 비율이 고정적임
Bare Metal Server ( Classic )
*Bare Metal Server : Hyper Visor 없이 바로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제공 ( 물리서버를 제공한다 )
![](https://blog.kakaocdn.net/dn/dccHxB/btsrgU0cj9P/ErvvbHgewjk2uyKhAvFJXK/img.png)
대표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하이퍼 바이저로는 VMware와 Virtual Box등이 있다.
사진출처 : https://www.alibabacloud.com/ko/knowledge/what-is-hypervisor
특징 : 물리적인 리소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 CPU Memory NIC의 성능을 그대로 사용 가능 )
고성능의 서버, DB, 게임서버쪽에서 많이 이용한다.
- RAID 1+0 , 5를 제공
- ORACLE Linux를 제공.
36Core NVMe의 특징 : NVMe를 사용하기 때문에 디스크 I/O의 속도가 굉장히 빠름
36Core : 36Core지만 NVMe를 사용하지않고 SSD를 사용.
20Core : MSSQL을 위해 만듬
8Core : ORACLE DBMS을 위해 만듬
4Core : MSSQL을 위해 만듬
- 내서버 이미지, 스냅샷, 추가 스토리지 기능이 제외됨.
- 서버가 장애났을때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이 불가능 ( 장애 발생시 서버를 밀어야한다는 단점 )
Bare Metal Server (VPC)
VPC에서 제공하는 Bare Metal Server는 Classic과는 조금 다르다.
VPC와 서브넷을 구성하고, 서브넷 안에 Bare Metal Server를 위치시킨다
- RAID 1+0, 5 제공 ( Classic과 같음 )
- RHEL를 제공.
GPU 서버 (Classic,VPC)
NVIDIA GRID 기술이 아닌 Pass Through를 적용하여 제공
NVIDIA GRID : 가상 머신에서 그래픽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
Pass Through :
- 그래픽 카드를 가상 머신에 직접 할당하여 물리적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
NVIDIA GRID 기술:
NVIDIA GRID는 가상 데스크톱 및 애플리케이션 가상화를 위해 설계된 그래픽 가속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가상 머신(VM)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그래픽 응용 프로그램을 더 높은 성능으로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NVIDIA GRID는 하드웨어 가속,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2D 및 3D 그래픽 렌더링 등을 지원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이러한 기능은 가상 데스크톱 환경에서도 복잡한 그래픽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Pass Through 방식:
Pass Through 방식은 가상화 환경에서 그래픽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가상 머신에 그래픽 카드를 직접 연결하여 하나의 물리적 그래픽 카드를 하나의 가상 머신에 할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가상 머신이 그래픽 카드 자체를 직접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가상 머신 내에서 그래픽 작업을 처리할 때 물리적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그래픽 성능이 향상됩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그래픽 카드 자원을 공유할 수 없기 때문에 가상 머신 간 리소스 공유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T4, V100을 제공
T4 : 가성비
Classic과 다른점 : T4는 2장, V100은 서버 당 최대 4장의 GPU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사항(memory)은 1장당으로 계산)
Windows 제공 X ( 향후 개발 예정 )
'Cloud > N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A 공부 (5) - 로드밸런서, CDN 서비스 설명 (0) | 2023.08.21 |
---|---|
NCA공부 (4) - VPC환경 및 생성 데모 시연 (1) | 2023.08.19 |
NCA공부 (3) - Network 상품군 (0) | 2023.08.16 |
NCA공부 (2) - Auto-Scaling과 Kubernetes (0) | 2023.08.15 |
NCA공부 (1) - Server Operation 방안 (0)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