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간단 정리

IP / Subnet Mask / Gateway / DNS / DHCP 그리고 NAT

 

IP : Internet protocol ( IP 주소 )는 네트워크에서 장치가 식별되는 고유 주소.

IPv4와 IPv6로 구성되고 IPv4는 32bit, IPv6는 128bit로 구성된다.

 

IPv4는 0.0.0.0~255.255.255.255 까지

IPv6는 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FFFF:FFFF:FFFF:FFFF:FFFF:FFFF:FFFF 까지 사용

Subnet Mask : Subnet Mask는 IP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는데 사용.

ex) 255.255.255.0 (/24)는 IP주소의 처음 세 옥텟을 네트워크 주소로 지정하고 마지막 옥텟을 호스트 주소로 지정한다.

간단히 192.168.0.0/24 = [192.168.0]까지는 네트워크 주소 , 192.168.0.[0] 마지막 옥텟을 호스트주소로 지정( 0~255 )

설명하자면 굉장히 기니까 나중에 따로 정리

 

Gateway :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트래픽을 전달하는 장치의 IP주소.

주로 Router가 Gateway 역할을 함.

- 집에서 쓰는 공유기가 Home Router임

 

DNS : Domain name system으로 도메인 이름 (www.shcs.com)을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모든 웹사이트가 IP주소로 되어있지만 기억하기 쉽지 않으니

사용자가 기억하기 쉽게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접근한다.

 

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으로, 사설 네트워크 IP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통신하도록 한다.

NAT는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것.

Static Nat, Dynamic Nat, PAT으로 구분됨

 


DNS와 DHCP는 OSI 7계층에서 작동하며

나머지 IP, Subnetmask, Gateway, NAT 모두 OSI 3계층에서 작동한다.

 

*OSI 7계층이란?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눈 모델

1. 물리계층

(케이블,허브,리피터,전기신호 등)

 

2.데이터 링크 계층

(스위치, 브리지, MAC 주소, 이더넷)

 

3.네트워크 계층

(라우터, IP주소, 패킷 전송, IP 프로토콜)

 

4. 전송 계층

(TCP ,UDP ,세그먼트(데이터단위), 포트번호)

 

5. 세션 계층 - 통신 세션을 설정,유지,종료하는 역할

(세션 설정, 관리, 종료)

 

6. 표현 계층  - 데이터 형식을 처리(코드변환, 데이터 압축, 암호화) 7계층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단계

(데이터 암호화/복호화/, 데이터 압축, 변환.)

 

7. 응용 계층

(웹 브라우저(HTTP), 이메일(SMTP), 파일전송(FTP), DNS, DHCP)

 

 

TCP/UDP의 차이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전송/제어 프로토콜

1. 연결지향성 - 3 way handshake - (SYN -> SYN+ACK -> ACK) 를 통해 송신자와 수신자간 연결을 설정한다.

* 세션을 종료할떈 4 way hanshake- (Client) FIN-> ACK / (Server) FIN -> ACK을 사용함.

2. 신뢰성 - 패킷이 손실되거나 순서가 뒤바뀌면 재전송 요청과 올바르게 정렬.

3. 속도 - UDP보다 느리지만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중요할때 사용된다.

4. HTTP,SMTP,FTP 등 신뢰성이 중요한 APP에서 사용된다

 

UDP (User Datagram Protocol)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1. 비연결 지향성 - TCP와 달리 UDP는 연결 설정 없이 데이터를 전송한다.

2. 신뢰성 - 신뢰성을 보장하지않는다, 손실되거나 순서가 바뀌어도 재전송이 없다.

3. 속도 - 매우 빠름 하지만 신뢰성이 보장되어있지 않음 실시간 APP( 실시간 스트리밍, 온라인게임, VoIP에 사용)

4.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 없음



 

* TCP/IP 4계층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Network Interface Layer)

물리적인 네트워크 연결과 데이터 링크를 담당한다. NIC, 케이블, 스위치 등 이계층에 해당

(OSI 1,2계층이 해당됨) 물데

 

2.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까지 라우팅하는 역할 

IP주소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을 관리. IP Protocol 동작

(OSI 3계층이 해당됨) 네

 

*3. 전송 계층 (Tranport Layer)종단 간 데이터 전송 관리. 데이터의 신뢰성, 흐름 제어, 오류검출 등을 처리TCP와 UDP 프로토콜이 동작(OSI 4계층이 해당됨) 전

 

4.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네트워크 서비스를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함응용 프로그램들이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데이터 형식, 암호화, 사용자 인증 처리HTTP,FTP,SMTP,DNS,DHCP,SNMP 등 동작(OSI 5,6,7계층 해당) 세표응

 

 

OSI는 이론적으로 설명할때 사용하면 됨TCP/IP는 실제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모델.

 

'Network >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VPN의 종류, 설명  (0) 2024.08.10
VTP, DTP  (0) 2023.10.23
VPN - IPSec(ISAKMP)  (0) 2023.10.12
네트워크 기초 (2) ACL & offset list _ RIPv2  (0) 2023.08.19
네트워크 기초 (2) - ACL, prefix_list  (0) 2023.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