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면서 자료를 정리하려고 블로깅 하는것이고 모든 출처는 NAVER CLOUD PLATFORM에 있습니다. https://www.edwith.org/associate-vpc/ Associate Course(VPC Platform) 강좌소개 : edwith - Naksoo Jung www.edwith.org 서버에서 작업 가능한 서버이미지, 서버스냅샷, 유사서버 생성, Init script, ACG, 추가 스토리지 생성에 대해 살펴봅니다. 1. Server Operation 방법 GUI(웹콘솔),CLI,API로 구성됨. API 추가설명 : ex) 웹페이지를 만들고 해당 웹페이지에서 API를 클릭하면 네이버 클라우드에 서버를 만든다던지 서버를 삭제한다던지 이런 기능들을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제어하는..
공부하면서 자료를 정리하려고 블로깅 하는것이고 모든 출처는 NAVER CLOUD PLATFORM에 있습니다. https://www.edwith.org/associate-vpc/ Associate Course(VPC Platform) 강좌소개 : edwith - Naksoo Jung www.edwith.org NCA플랫폼의 상품군에는 4종류가 존재한다. - 플랫폼 ,인프라, 애플리케이션,관리/보안 컴퓨터 상품군 - 2022/01월 기준 컴퓨터상품군은 입맛대로 설정해서 사용하는게 아니라 미리 템플릿을 만들어두고 이용할 수 있게 다양한 상품군을 준비해 두고 있다. 일반서버 Classic 1세대 Micro : 한국 사용자에게만 제공됨. - Windows를 제공하지 않음. High Memory : 주로 DB를 구..
소개 오늘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별로 디스크의 용량을 제한하고,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인 리눅스 quota명령어의 사용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이 "quota" 명령어로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고, 관리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사용자별로 제한을 두어 시스템의 디스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된다. "quota"의 기능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 확인 -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 (현재 사용중인 디스크 공간과 허용된 최대 사용량) 사용자별 용량 제한 설정 - 관리자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디스크의 용량을 제한할 수 있다. (한 사용자가 과한 디스크 공간을 독점하지 않게 제한) 사용자 경고 및 알림 - 설정을 통해 용량 제한의 접근하고, 초과했을 ..
Frame Relay란 무엇인가? 오늘은 간단하게 프레임릴레이에 대해 알아보려고합니다. 처음 개발된 것은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이고, 지금은 많이 사용되지는 않지만 그 시절에는 혁신적인 패킷 전송 서비스로 각광 받았습니다. 지금도 은행 등 일부 산업에서는 사용되고 있다고하니 간단하게 알아보려고합니다. Frame Relay는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패킷 기반의 데이터 전송을하고, 이것은 회로 스위칭 방식과 대조적으로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패킷 스위칭의 일종인데 핵심 개념은 가상 회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가상회선이란 ? Frame Relay에서는 가상회선이라고하는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는데 가상 회선은 실제 물리적 경로가아니라, 논리적 경로를 의미하고 ..
소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단한 실습에서 자주쓰이는 RI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하려고 합니다. 오늘 이 글에선 RIP의 핵심 개념과 장단점, 그리고 주요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았습니다. RIP는 Routing Information Protocol(라우팅 정보 프로토콜)로, 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중 하나입니다. RIP는 1988년 ITE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의해 RFC 1058로 정의되었고 거리 벡터 프로토콜로 Hop Count(홉 카운트)를 사용하여 최단경로를 결정합니다. RIP는 네트워크가 변화할 때마다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므로, 네트워크의 규모와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는데 유용합니다. UDP 520번을 사용한다. RIP의 장점과 ..